HOME LOGIN SITEMAP
통합검색
민원서비스 안전지킴이 열린소방서 소방자료실 소방서소개 어린이마당
안전지킴이
HOME > 안전지킴이 > 생활안전
생활안전 소방안전관련 생활안전 사항에 대하여 알기쉽고 간단하게 설명하였습니다.


물놀이
물놀이 안전 수칙
- 음주 후 수영할 때 사고발생 위험이 크므로 금지 또는 자제한다.
- 수영을 하기 전에는 손, 발 등의 경련을 방지하고자 반드시 준비운동을 한다.
- 물에 처음 들어가기 전 심장에서 먼 부분부터(다리, 팔, 얼굴, 가슴 등의 순서) 물을 적신 후 들어간다.
- 수영도중 몸에 소름이 돋고 피부가 땅겨질 때 몸을 따뜻하게 감싸고 휴식을 취한다.
  (이 경우는 다리에 쥐가 나거나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 상당히 위험한 경우가 많으므로 특히 주의한다.)
- 물의 깊이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갑자기 깊어지는 곳은 특히 위험하다.
- 구조 경험이 없는 사람은 안전구조 이전에 무모한 구조를 삼가야 한다.
-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주위에 소리쳐 알리고 구조에 자신이 없으면 함부로 물속에 뛰어들지 않는다.
- 수영에 자신이 있더라도 될 수 있으면 주위의 물건들(장대, 튜브, 스티로폼 등)을 이용한 안전구조를 한다.
-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나, 몹시 배가 고프거나 식사 후에는 수영을 하지 않는다.
- 자신의 수영능력을 과신하여 무리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.
- 장시간 계속 수영하지 않으며, 호수나 강에서는 혼자 수영하지 않는다.

어린이 동반 물놀이 활동 때 유의사항
- 어른들이 얕은 물이라고 방심하게 되는 그곳이 가장 위험 할 수 있다.
- 어린이는 거북이, 오리 등 각종 동물 모양을 하고 보행기처럼 다리를 끼우는 방식의 튜브사용은 뒤집힐 때
  아이 스스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머리가 물속에 잠길 수 있다.
- 보호자와 물 안에서 함께 하는 활동 안에서만 안전이 보장될 수 있으며, 어린이는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
  안에 익사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.
- 어린이와 관련된 수난사고는 어른들의 부주의와 감독 소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.
- 인지능력과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는 유아와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손을 뻗어 즉각 구조가 가능한 위치에서
  감독해야 한다.
- 활동반경이 넓어지는 만 6~9세 이하 어린이들은 보호자의 통제권을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이므로 사전
  안전교육과 주의를 주어 통제한다.


승강기
엘리베이터 안전사고 예방
- 엘리베이터 내에 부착된 유의사항을 지켜야 합니다.
- 탑승정원이나 적재하중의 초과는 고장과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- 조작반의 인터폰, 비상정지스위치 등을 장난으로 조작하지 맙시다.
- 버튼을 불필요하게 누르거나 난폭하게 다루지 맙시다.
-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 내에서 뛰거나 심한 장난을 하지 맙시다.
- 엘리베이터 출입문을 흔들거나 손으로 밀지 말아야 하며 출입문에 기대지 맙시다.
- 엘리베이터 내에서는 담배를 피우지 맙시다.
- 어린이나 노약자는 될 수 있으면 보호자와 함께 탑승하도록 하고 애완동물은 안고 탑승합시다.
- 지정된 용도 이외에는 사용하지 맙시다.
- 출입문의 문턱 틈이나 문 사이에 이물질을 버리지 맙시다.
- 관리자의 입회·허락 없이 크거나 무거운 화물을 무단으로 싣지 맙시다.

엘리베이터가 정지된 때
- 정전으로 엘리베이터가 멈추거나 실내등이 꺼지면 침착하게 인터폰으로 연락합시다.
- 엘리베이터가 도중에 정지하면 마음대로 탈출하지 말고 인터폰으로 구조를 요청합시다.
- 비상환기구는 탈출구가 아니므로 열려고 하지 맙시다.
- 구조를 요청하여 구출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구조요원의 안내에 따라야 합니다.
- 굉음이 들리거나 진동이 있으면 인터폰으로 연락합시다.
-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을 하지 맙시다.
- 화재가 난 때는 엘리베이터를 타지 마시고 반드시 계단을 이용하여 피난합시다.


수상.낚시
수상 안전 방법
- 레저 활동을 할 경우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 착용을 생활화합니다.
- 활동 전에 일기예보에 귀를 기울이고, 활동 중에도 현지 기상변화를 수시로 확인합시다.
- 기상 불량 시 무리한 레저 활동을 하지 맙시다.
- 천둥·번개가 칠 때는 즉시 물 밖으로 나와야 합니다.
- 장비점검을 생활화합시다.
- 활동 전에 레저기구에 대한 연료가 충분한지, 물이 새는 곳은 없는지, 엔진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합시다.
- 비상연락 수단과 조난신호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.
- 바다에서는 언제 어느 때 조난을 당할지 모르기 때문에 휴대전화나 다른 통신장비(호루라기, 부표 등)를
  갖추어야 합니다.
- 일몰 30분 후부터 일출 30분 전까지는 레저 활동을 하지 말고, 야간레저 활동을 해야만 하는 경우는 항해
  등, 나침반, 통신기기, 야간 조난신호 장비, 전등 등의 야간운행 장비를 반드시 갖추어야 합니다.
- 원거리 수상 레저 활동은 반드시 해양경찰 등 관계기관에 신고 후 합시다.
- 수상 레저 활동 금지구역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.
- 해수욕장의 수영경계선 안쪽은 수영하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구역이므로 진입하지 맙시다.
- 면허 음주 조종은 하지 맙시다.
- 해양경찰 등 관계공무원의 안전관리 업무에 적극적으로 협조합시다.

안전한 낚시 방법
- 기상정보에 관심을 기울이고 기상이 나쁠 때는 낚시를 자제합시다.
- 갯바위와 썰물바위는 추락과 고립 등 위험성을 갖추고 있으니 낚시꾼 어선업자들은 위험장소를 안내
  하거나 안내 요구도 받지 않도록 합시다.
- 무허가 또는 인명구조장비를 비치하지 않은 낚시어선은 이용하지 말고 곧바로 해양경찰서에 신고하여야
  사고를 미리 방지 할 수 있습니다.
- 낚시어선업자와 낚시꾼은 무리한 출항이나 정원초과는 요구도 승선도 하지 맙시다.
- 출항 시에는 항상 구명재킷을 착용하고 항해 때는 난간에 걸쳐 앉는 일을 삼가야 하며 해난사고에 항상
  대비하도록 합시다.
- 해안가 위험요소에 비치된 각종 안내판의 준수사항들을 절대로 지켜야 하며 금지구역은 출입을 하지
  말도록 합시다.
- 만일의 사태에 대비 휴대전화 등 긴급 연락이 가능한 통신장비를 휴대하여야 하고 낚시 추는 심각한 바다   오염의 주범으로 추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
- 가족과 주변 사람에게 행선지와 일정을 미리 알려줍시다.
- 야간에는 위치를 알릴 수 있는 랜턴과 체온 보호용 담요를 준비합시다.
- 간ㆍ만조 시간을 반드시 확인합시다.
- 휴대전화기 예비축전지(배터리)를 준비합시다.
- 휴대용 라디오를 항상 지참하고 일기예보에 항상 신경을 기울입시다.


산행.낙뢰
산행이나 야영 때 집중호우
- 휴대용 랜턴, 라디오, 밧줄(로프), 구급약품 등을 준비해두어야 합니다.
- 호우주의보 발령 시 라디오에 귀를 기울여 기상상태를 주시합시다.
- 기상관측에 잡히지 않는 기습 집중호우에 유의합시다.
- 등산 중일 때에는 빨리 하산하거나 급히 높은 지대로 피신하되, 물살이 거센 계곡은 절대로 건너지 맙시다.
- 야영 중에 물이 밀려들 때에는 절대로 물건에 미련을 두지 말고 신속히 대피합시다.
- 하천이나 섬에서 낚시하는 사람은 안전지대로 즉시 대피합시다.
- 집중호우 시 나무로 만들어진 다리(교량)는 건너지 맙시다.

낙뢰
- 건물 안, 자동차 안, 움푹 파인 곳이나 동굴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세요.
- 낚싯대나 골프채 등을 이용하는 야외운동은 매우 위험하므로 운동을 즉시 중단하시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
  하세요.
- TV, 라디오,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를 잘 알아 둡시다.
QUICK MENU
민원서식자료실
화재피해안내센터
안전체험센터
비상구불법신고센터
화재배상 책임보험
소방체험학습신청
 
 
 
 
화재배상책임보험
전라북도소방본부(새창)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 저작권보호정책 홈페이지개선의견 뷰어프로그램 사이트맵